역사 자료

[스크랩] ☞ 三韓朝鮮(三古朝鮮)의 王世系表 !

스타도나 2010. 9. 13. 11:00

           마조선              진조선                           번조선             燕
   댓수     명칭 즉위년(BCE)    댓수       명칭 즉위년(BCE)    댓수    명칭 즉위년(BCE)          비 고       비고
제1대 웅백다 2333 제1대 검()  2333 제1대 치두남 2333    
제2대 노덕리   제2대 부루(扶婁)  2240 제2대         
제3대 불여래 2229 제3대 가륵(嘉勒)  2182 제3대    2251    
제4대 두라문 2180 제4대 오사구(烏斯丘)  2137 제4대    2238    
제5대 을불리   제5대 구을(丘乙) 2099 제5대    2187    
제6대 근우지 2136 제6대 달문(達門)  2083 제6대         
제7대 을우지 2107 제7대 한율(翰栗)  2047 제7대    2098    
제8대      제8대 우서한( 烏斯含) 1993 제8대    2072    
제9대      제9대 아술(阿述) 1985 제9대    2015    
제10대    1939 제10대 노을(魯乙) 1950 제10대 자오사 1975    
제11대    1924 제11대 도해(道奚) 1891 제11대    1960    
      제12대 아한(阿漢)  1834 제12대    1946    
제12대    1806 제13대 흘달(屹達) 1782 제13대    1893    
제13대    1716 제14대 고불(古弗)  1721 제14대    1844    
제14대    1633 제15대 대음(代音) 1661 제15대    1826    
      제16대 위나(尉)  1610 제16대    1770    
제15대 두막해 1550 제17대 여을(余乙)  1552 제17대    1727    
제16대    1496 제18대 동엄(冬奄)  1484 제18대         
      제19대 구모소(牟蘇)  1435 제19대    1664    
제17대    1371 제20대 고홀(固忽)  1380 제20대    1600    
제18대 아라사 1287 제21대 소태(蘇台)  1337 제21대    1554    
제19대 여원홍 1285 제22대 색불루(索弗婁)  1285 제22대    1518    
제20대    1232 제23대 아홀(阿忽)  1237 제23대 사두막      
제21대      제24대 연나(延那)  1161 제24대         
제22대 아화지 1091 제25대 솔나(率那)  1150 제25대 오립루      
제23대 아사지 1055 제26대 추로(鄒魯)  1062 제26대      1411    
      제27대 두밀(豆密)  997 제27대         
      제28대 해모(奚牟) 971 제28대 해모라 1395    
제24대 아리손 934 제29대 마휴(摩休)  943 제29대    1352    
      제30대 내휴(奈休)  909 제30대 서우여 1285 색불루에 의해 廢庶人후     마한의 왕이됨.    
제25대      제31대 등올()  874 제31대    1225    
      제32대 추밀(鄒密)  849 제32대    1224    
제26대      제33대 감물(甘勿)  819 제33대    1184    
      제34대 오루문(奧婁門)  795 제34대    1137    
제27대    754 제35대 사벌(沙伐)  772 제35대    1105    
      제36대 매륵(買勒)  704 제36대    1092    
제28대    677 제37대 마물(麻勿)  646 제37대    1074    
제29대      제38대 다물(多勿)  590 제38대    1054    
제30대    588 제39대 두홀(豆忽)  545 제39대    1014    
제31대 가섭라   제40대 달음(達音)  509 제40대    1012    
제32대      제41대 음차(音次)  491 제41대 오루문 983    
      제42대 을우지(乙于支)  471 제42대    966    
제33대      제43대 물리(勿理)  461 제43대    954    
제34대 진을례   제44대 구물(丘勿)  425 제44대    926    
      제45대 여루(余婁) 396 제45대    900    
제35대     366 제46대 보을(普乙)  341 제46대    836    
           -238 제47대 고열가(古列加)  295-239 제47대    785    
                                              북부여 통일 제48대    752    
         5加-共和政時代 제1대 해모수 239 제49대    746    
중마한       卓 194 제2대 모수리 194 제50대    736    
    제3대 고해사 169 제51대    707    
  130 제4대 고우루 120 제52대    703    
오천축     五天竺 130 제5대 고두막 108 제53대    703    
제6대 고무서 59 제54대    663    
45                      고구려 제55대    648    
  제1대 고주몽 58 제56대 소태이 648    
  제2대 해유리 19 제57대    634    
  제3대 해무휼 AD 4 제58대    616    
  제4대 해석주   제59대    605    
  제5대      제60대    595    
  제6대      제61대    520    
  제7대 고수성    제62대    505    
  제8대 고백고    제63대    471    
  제9대 고남무   제64대    453    
  제10대 고연우   제65대    438    
  제11대 고우위거   제66대    400    
  제12대 고연불   제67대    371 燕 자객에게 시해당함.    
  제13대 고약로   제68대    341    
  제14대 고상부   제69대    340    
  제15대 고을불   제70대    323    
  제16대 고사유   제71대    315    
  제17대 고구부   제72대    290    
  제18대 고이련   제73대    251    
  제19대 고담덕   제74대    221-194    
  제20대 고거련   후마한     箕準 194 연나라 출신노관->흉노, 위만->번조선 망명    衛 滿 BC194
  제21대 고나운       후마한 箕準이 재건국   -  
  제22대 고흥안               右 渠 BC108
  제23대 고보연            
  제24대 고평성            6대신 투항 漢에 亡함
  제25대 고양성          
  제26대             
  제27대 고건무     18 백제 온조에 의해 멸망  
      제28대    AD642-668     稽王 17      

 

1. 고조선(辰조선=마한)은 碑王제를 물려받아 번조선(한)과 마조선(한)을 두고 裨王의 임명과 전체 영토관리를 하였다.

 

2. 번조선의 서우여가 箕子라는 설이 있으나 확실하지 않다.

 

3. 진한,변한,마한이라는 국가는 고조선 이후에 신라,백제,고구려라는 국가명으로 이어진다는 등식이 성립되지 않는다.

 

4. 백제는 후마한에서 발전하여 계왕을 멸하고 성립된다.

 

5. 위만조선은 고조선 후예국이 아니라 기준의 번조선을 탈취한 漢의 망명집단이 번국으로 결국 漢에게 망한다.
   따라서 위만조선은 고조선의 국가로 볼 수 없다.

 

 

출처 : 잃어버린 역사,보이는 흔적
글쓴이 : 心濟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