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1

[스크랩] 태극1장----8장까지

스타도나 2009. 8. 26. 01:22

대한태권도협회 품세 [태극1장]

 

태극 1장은 팔괘의 건(乾)을 의미하며 건은 하늘과 양(陽)을 뜻한다.


건이 만물의 근원이 되는 시초를 나타낸 것과 같이 태권도에 있어서도 맨 처음의 품새이다.


특징은 서기에서는 가장 쉬운 걷기 위주이며 동작은

 

기초적인 아래막기, 몸통막기, 몸통지르기,앞차기로 구성되어 있다.

 

태권도 8급의 품새이다.

대한태권도협회 품세 [태극2장]

 

태극 2장은 팔괘의 태(兌)를 의미하며 태는 속으로 단단하고 겉으로는 부드럽다는 뜻이다.


태극 1장을 수련하여 품새에 대한 알찬 마음이 생겨 기초적인 막기와 차기를 할 수 있는 품새다.


새로운 동작은 얼굴막기이며 앞차기 동작을 많이 넣어 몸에 익히게 하였다.

 

태권도 7급이 수련하는 품새이다.

대한태권도협회 품세 [태극3장]

 

태극 3장은 팔괘의 이(離)를 의미하여 이는 불을 나타내고 뜨겁고 밝음을 지닌다.


태권도 품새 수련을 통한 불같은 정의심과 수련의욕이 생겨난 파란띠로 승급할 수 있는 과정이다.


새로운 동작은 손날목치기, 손날막기이고 새로운 서기는 뒷굽이이며

 

기술은 연속 막고 치기와 차고 연속 지르기가 특징이다.

 

빠른 속도로 상대로부터의 치기를 막고 되치는 기술의 힘을 중요시 한다.


태권도 6급이라야 수련할 수 있다.

대한태권도협회 품세 [태극4장]

 

태극 4장은 팔괘의 진(震)을 의미하며 진은 우뢰를 나타내고 큰 힘과 위엄있는 뜻을 지니고 있다.


파란띠의 품새답게 차원높은 기술과 동작이 많다.

 

새로운 동작은 손날몸통막기, 편손끝찌르기,제비 품목치기, 옆차기, 몸통바깥막기, 등

 

주먹얼굴앞에치기이고 특수한 미끄럼발이 있다.

 

겨루기에 대비한 각종 동작과 뒷굽이 서기가 많다는 것이 특징이다.

 

태권도 5급의 과정이다

대한태권도협회 품세 [태극5장]

 

태극 5장은 팔괘의 손(巽)을 의미하며 손은 바람을 나타내고

 

바람의 강약에 따라 위세와 고요의 뜻을 지닌다.


힘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는 수련단계라 할 수 있겠다.


새로운 동작은 메주먹내려치기, 팔굽돌려치기, 옆차며 옆지르기, 팔굽표적치기가 있고,


서기는 꼬아 서기와 왼서기, 오른서기가 나온다.

 

특징으로는 차기 뒤에 아래막고 몸통막기가 막기만 연속되는 동작과 뛰어 구르면서

 

치는 동작이 특수하고 표적치기 시에는 표적이 움직이지 않게 주의해야 한다.


태권도 4급의 과정이다.

대한태권도협회 품세 [태극6장]

 

태극 6장은 팔괘의 감(坎)을 의미하며 감은 물을 나타내고 끊임없는 흐름과 유연함을 뜻한다.


만물의 생명원인 물의 특성처럼 기술의 연결이 물흐르듯 해야 한다.


새로운 동작은 한손날얼굴 바깥막기, 돌려차기, 얼굴바깥막기, 바탕손몸통막기가 있고

 

품새의 중간에 편히서기가 나온다.

 

수련상의 유의점은 돌려차고 난 다음 찬 발을 정확히 앞으로 내딛기와 바탕손 몸통막기를 할 때는

 

막는 부위가 다르므로 팔목으로 막을 때보다 손바닥 길이만큼 낮추어야 한다.


태권도 3급의 과정이다.

대한태권도협회 품세 [태극7장]

 

태극 7장은 팔괘의 간(艮)을 의미하며 산을 나타내고 육중함과 굳건하다는 뜻을 지닌다.


태권도의 빨간띠가 되면 흔들리지 않는 수련의식과 기술습득으로 인한 힘의 무게를 지닐 수 있다.


 새로운 동작이 많이 나오는 품새이므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새로운 동작은 손날아래막기, 바탕손거들어막기, 보주먹 가위막기, 무릎치기, 몸통헤쳐막기,


제친두 주먹몸통지르기, 엇걸어아래막기, 표적치기, 옆지르기가 있고

 

서기에서는 범서기와 주춤서기가 나온다.


동작이 다양하므로 연결성에 중점을 두어 수련해야 한다. 태권도 2급의 과정이다.

대한태권도협회 [태극8장]

 

태극 8장은 곤(坤)을 의미하며 곤은 음(陰)과 땅을 나타내고

 

뿌리와 안정 그리고 시작과 끝의 뜻을 지닌다.


유급자의 마지막 품새로서 연성이 끝나면 1장에서 8장까지 총연습 기간을 거쳐

 

국기원 승단 (품)심사에 나갈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된다.


새로운 동작은 두발당상 바깥팔목몸통거들어바깥막기, 외산틀막기, 턱지르기, 거들어아래막기,

 

뛰어 차기, 팔굽돌려치기가 있다.

 

수련시 유의할 것은 발차고 뒤로 두 걸음 물러나는 보법동작의 정확성과 두발당상과

어차기 동작의 차이점 및 습득요령이다.

 

태권도 1급의 과정이다.

출처 : 태극1장----8장까지
글쓴이 : cjddn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