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 마음 다스리는 글,.. * 홍익인간,..

2011. 4. 16. 22:19시와글

  

   * 마음 다스리는 글,..

 

福은 儉素(검소)함에서 생기고,

德은 謙讓(겸양)에서 생기며,

智慧(지혜)는 고요히 생각하는 데서 생기느니라.

 

  (福(복;복); 삶에서 누리는,좋고 만족할 만한 행운,또는

   거기서 얻는 행복, / 배당되는 몫이 많은 것을 비유적

   으로 이르는 말,)

  (儉素(검소할;검 / 흴;소); 치레하지 않고 수수함, / 사치

   하지 않고 꾸밈없이 수수함,)

  (致禮(이를;치 / 예절;례); 禮를 치름, / 禮를 다하여 행함,)

 

  (수수하다; 물건의 품질이나 겉모양, 또는 사람의 옷차림

   따위가 그리 좋지도 않고 나쁘지도 않고 제격에 어울리는

   품이 어지간하다,../ 사람의 성질이 꾸밈이나 거짓이 없고

   까다롭지 않아 수월하고 무던하다,)

 

  (德(큰;덕); 도덕적 윤리적 이상을 실현해 나가는 인격적

   능력, / 공정하고 남을 넓게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마음

   이나 행동, / 덕분,)

  (德分(큰;덕 / 나눌;분); 베풀어 준 은혜나 도움,/ 德潤(덕윤),

   德澤(덕택),)

  (謙讓(겸손할;겸 / 사양할;양); 겸손한 태도로 남에게 양보

   하거나 사양함,)

 

  (智慧(지혜;지 / 슬기로울;혜); 삶의 경험이 풍부하거나,

   世上이치나 도리를 잘 알아, 일을 바르고 옳게 처리하는

   마음이나 두뇌의 능력,슬기, / 미혹을 없애고 보리를

   성취 하는 힘,/ 육바라밀의 하나, 제법에 환하여 잃고

   얻음과 옳고 그름을 가려내는 마음의 작용으로서,미혹을

   소멸하고 普提(보리)를 성취하는 힘이다,..)

 

  (迷惑(미혹할;미 / 미혹할;혹); 마음이 흐려서 무었에 홀림,)

 

  (普提(보리; 넓을;보 / 끌;제, 날;시, 끊을;제);불교에서

   최상의 이상인 佛陀正覺(불타정각)의 지혜, /

   불타정각의 지혜를 얻기위해 수행해야 할 길, /

   佛果(불과)에 도달 하는 길, / 佛敎최고의 이상인

   불타정각의 지혜, / 불타정각의 지혜를 얻기위하여 닦는

   道, 佛果에 이르는 길을 이른다,..)

     

근심은 愛慾(애욕)에서 생기고,

災殃(재앙)은 物慾(물욕)에서 생기며,

허물은 輕妄(경망)에서 생기고,

罪는 참지 못하는 데서 생기느니라.

 

  (근심; 해결되지 않은 일 때문에 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함, / 걱정,..)

  (걱정; 安心(안심)이 되지 않아 속을 태움,..)

  (安心(편안;안 / 마음;심);걱정이 없이 마음을

   便安(편안)히 가짐,)

  (便安(편할;편 / 편안;안); (몸이)괴롭거나 아프거나

   하지않고 편하여 좋음,)

 

  (愛慾(사랑;애 / 욕심;욕); 애정과 욕심 / 사랑하고

   싶어하는 욕망 / 三司(삼사; 明悟(명오), 記含(기함),

   愛慾(애욕))의 한가지,..)

 

  (三司(석;삼 / 맡을;사); 영혼의 세가지 관능,/ 조선 초기에

   재정을 맡아보던 관아의 하나, 3대 太宗1년(1401年)에

   司平府(사평부)로 고침,..)

 

  (災殃(재앙;재 / 재앙;앙); 천변지이로 因한 온갖 불행한 일,)

  (物慾(만물;물 / 욕심;욕); 돈이나 물건에 대한 욕심,..)

  (허물; 잘못 저지른 실수,../ 흉,..)

  (흉; 남에게 비웃음을 살만한 꺼리,../ 흉터,..)

 

  (輕妄(가벼울;경 / 망령;망); 言行이 가볍고 방정맞음,

   / 행동이나 말이 가볍고 방정맞음,)

  (방정; 찬찬하지 못하고 몹시 경망스럽게 하는 말이나

   행동,..)

 

 

눈을 操心(조심)하여 남의 그릇됨을 보지말고,

맑고 아름다움을 볼 것이며.

 

  (操心(지조;조 / 마음;심); 잘못이나 실수가 없도록 말이나

   행동에 마음을 씀,..)

 

입을 操心(조심)하여 實(실)없는 말을 하지말고,

착한말, 부드럽고 고운말을 언제나 할 것이며.

 

몸을 操心하여 나쁜 親舊(친할;친 / 예;구)를 사귀지 말고,

어질고 착한이를 가까이 하라.

 

어른을 恭敬(공손할;공 / 공경할;경)하고 德있는 이를

받들며, 智慧(지혜)로운 이를 따르고, 모르는 이를 너그럽게

容恕(얼굴;용 / 용서할;서)하라.

 

오는 것을 拒絶(막을;거 / 끊을;절)말고, 가는 것을 잡지 말며,

내 몸 待遇(기다릴;대 / 만날;우) 없음에 바라지 말고,

일이 지나갔음에 怨望(원망할;원 / 바랄;망)하지 말라.

 

남을 害(해칠;해)하면 마침내 그것이 自己에게 돌아오고,

勢力(권세;세 / 힘;력)을 依支(의지할;의 / 가를;지)하면 도리어

災禍(재앙;재 / 재앙;화)가 따르느니라,..

 

 * 일타 스님 어록(법문,..)中,..

 

  * 弘益人間 ; 홍익인간,..

   (클;홍 / 더할;익 / 사람;인 / 사이;간);~~~

   널리 人間을 이롭게 함,..~~~

   (檀君의 建國理念으로서, 우리나라 政治,敎育,文化의

   最高(최고) 理念으로 "三國遺事(삼국유사)" 古朝鮮(고조선)

   建國神話에 나옴,..)

 

 * 在世理化 ; 재세이화,..

   (있을;재 / 대;세 / 다스릴;이 / 될;화);~~~

   世上을 眞理로 만들자,..~~~

   ("삼국유사" 고조선 편,..)

 

 * 光明理世 ; 광명이세,..

   빛이 가득찬(한) 世上으로 만들자,..~~~

 

弘益人間 在世理化 光明理世

홍익인간 재세이화 광명이세

(開天節의 意味 ,..)

 

"널리 他(타)를 이롭게 하여,

 이 世上을 眞理로, 빛(光明 / 眞理)으로 가득찬

 世上을 만들자,..!"

 

^!^,..~~~

 

 

출처 : 무궁화
글쓴이 : * 自由,.. 원글보기
메모 :

'시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비 - 박목월  (0) 2016.04.29
[스크랩] 사라진 뒤에야 빛이 나는 행복  (0) 2013.08.05
어느 며느리의 고백 - 퍼온 글  (0) 2010.12.12
우리 첫눈 오는 날 만나요.  (0) 2009.12.08
[스크랩] 눈내리는 오소서  (0) 2009.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