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기초문법 더 이상...

2011. 4. 21. 23:41주고받는 정보

■주어 : 문장의 주인

■관사 : 명사 앞에서 그 단어의 모자 역할을 하는 말 ‘a', 'an', 'the'

■목적어 : 동작의 목적 대상이 되는 말

■보어 : 보충해 주는 말

■동사 : 동작을 나타내는 말

■형용사 : 명사꾸며주는 말.

■부사 : 동사꾸며주는 말

■명사 : 모든 사람이나 사물의 칭 / 이름

■대명사 : 명사를 대신하는 말

■의문문 : 묻는 문장

■부정문 : ‘not’이 들어간 문장으로 '~가 아니다’라고 해석된다.

■긍정문 : 부정문의 반대, 'not'이 안들어가는 문장

■전치사 : 명사나 대명사의 앞에 위치하는 말

■접속사 : 연결시켜주는 말

 

1

  문장

 

 

 

 

 

 

 

 문장은 일반적으로 그 주제가 되는 주부(主部: Subject)와 그 주부에 대하여 설명하는 술부(述部: Predicate)로 이루어진다.   주부는 문장의 주체가 되는 부분으로 주어가 그 중심이 되며, 술부는 주부의 동작, 상태, 성질 등을 설명해 주는 부분으로서 동사가 중심이 된다.




1. 주부와 술부

 가장 간단한 문장은 주부와 술부가 각각 한 개의 낱말로 이루어지지만, 일반적으로 수식어가 덧   붙어서 복잡해진다.


  ex) Birds sing. (새들이 지저귄다.)

      (주부) (술부)


     They study English hard. (그들은 영어를 열심히 공부한다.)

      (주부)        (술부)


     The boy in the room is very diligent. (방안에 있는 그 소년은 퍽 부지런하다.)

               (주부)                (술부)

         


2. 문장의 구성요소

문장을 구성하는 것으로는 주어(S), 동사(V), 목적어(O), 보어(C), 수식어(M)가 있다. 이 중에서 수식어는 생략해도 문장은 성립한다.

주어․동사․목적어․보어는 문장을 이루는 데 있어서 필요한 것이므로, 이를 문장의 4요소라고 한다.


(1) 주어(主語: Subject Word) - 주부 가운데서 가장 중심이 되는 말이다. 주어로 될 수 있는것은 명사, ․대명사․명사에 상당하는 어구 등이다. (S로 표기)    

    ex) Jack and I are good friends. (잭과 나는 친한 친구간이다.)(명사, 대명사)

        To tell a lie is wrong. (거짓말을 하는 것은 나쁘다.)(명사상당어구(부정사)


(2) 동사(動詞: Verb) - 술부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말인데, 부정․의문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조동사까지 포함한다. (V로 표기)


    ex) The dog is sleeping on the sofa. (개가 소파에서 잠자고 있다.)

        Tom can play tennis. (톰은 테니스를 할 줄 안다.)



(3) 목적어(目的語: Object) - 동사의 대상에 해당하는 말로 명사에 상당하는 어구가 쓰인다.

      목적어로는 명사,․ 대명사․, 명사상당어구가 되며 우리말로는 <~을(를), ~에게>로 번역된다.


   ① 직접목적어(DO: Direct Object):<~을(를)>에 해당하는 목적어로, 사물이 된다.

   ② 간접목적어(IO: Indirect Object):<~에게>에 해당하는 목적어로, 사람이나 동물이 된다.

      ex) He showed me an album. (그는 나에게 앨범을 보여 주었다.)

                         (간목)    (직목)



(4) 보어(補語: Complement) - 동사만으로써는 뜻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그 뜻의 모자람을 보충하여, 주어 또는 목적어를 설명하여 주는 말이다. 명사, 형용사 또는 그 상당어구가 보어로 쓰인다. (C로 표기)


   주격보어(SC:Subject Complement): 주어를 설명하여 주는 보어인데, <S=C>의 관계가 성립 한다.

      ex) You are a student. (You=student)

           (주어)      (주격보어)


   ② 목적보어(OC: Object Complement) : 목적어를 설명하여 주는 보어인데, <O=C>의 관계가 성립한다.

      ex) They think me a scholar.  (me=scholar) (그들은 나를 학자라고 생각한다.)

                          (O)    (OC)


보어가 명사(구) 일 때는 ‘주어=주격보어’ ‘목적어=목적격보어’의 관계가 된다.

보어가 형용사(구)일 때는 ‘주어≠주격보어’ ‘목적어≠목적격보어’의 관계가 되며 주어나 목적어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낸다.


※ 수식어는 주요소(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를 수식하는 말로 형용사나 부사가 있다. 문장의 4     요소에는 포함되지 않으며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하고, 부사는 동사, 형용사, 다른 부사를 수식     한다.


   ex) Look at the tall gentleman over there. (tall(형용사)이 gentleman(명사)을 수식)

       He works hard on수식어 -

 

2

  기본문형

 

 

 

 

 

 

 

 문장은 동사의 종류에 따라 크게 자동사와 타동사로 분류되고 이동사가  다시 완전자동사와 불완전 자동사, 완전타동사와 불완전타동사로 분류됨에 따라, 문장도 5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것을 기본문형 또는 문장의 5형식이라 한다.

 

※ 목적어의 유무에 따라서 자동사와 타동사로 나눈다.

   ㅇ 자동사 : 목적어가 필요하지 않는 동사

   ㅇ 타동사 :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


※ 보어의 유무에 따라서 완전동사와 불완전동사로 나눈다.

   ㅇ 완전동사 : 보어가 필요하지 않은 동사

   ㅇ 불완전동사 : 보어가 필요한 동사


 (1) 제 1 형식 = S+V (…은(는) ~한다)

 주어는 “-은/는/이/가/것/“로 해석되며, 동사는 go, come, fly, run 처럼 목적어나 보어가 필요 없는 완전자동사가 쓰인다. 형용사구나 부사구는 문장 형식에 포함되지 않는다.

    ex) The sun rises in the east. (태양은 동쪽에서 뜬다.)

     이 문형에 쓰이는 동사는 완전자동사이고, 주어와 동사만으로써 완전한 뜻을 이룬다.


(2) 제 2 형식 = S+V+C (…은 ~이다(된다)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동사(become, get, grow) 등과,  감각을 나타내는 동사 (look, sound, smell, taste, feel) 이 쓰이며, 명사나 형용사를 보어로 취한다.

    ex) She became a nurse. (그 여자는 간호원이 되었다.)

        He looks very healthy. (그는 매우 건강해 보인다.)

  

    ※ ?

출처 : 기초문법 더 이상...
글쓴이 : 해바라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