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9. 14. 17:10ㆍ사진 기술
제 생각엔 많은 경험이 중요하단 생각입니다.
장비가 아무리 좋아도 경험이 없다면 흔히 말하는 공감 가는 사진을 찍을 수 없을 겁니다.
사진이 무조건 선명하고 깔끔하게 나온다고 해서 잘 찍은 사진은 아니죠.
어쩔 땐 흔들린 사진이 더 멋있을 때도 있고 노이즈가 심한 사진이
더 분위기가 살 때도 있지요.
그런 연출은 사용자의 몫이지 카메라가 알아서 그렇게 만들어주진 않죠.
구도 참 중요합니다. 하지만 꼭 정해진 구도는 없습니다. 단지 구도의 한 방법을 알려줄 뿐이지
그 구도대로 따라할 필요는 없죠. 자신만의 구도도 시험해 보고 평가도 받아보고 하다보면
나중엔 자신도 모르게 성큼 발전한 모습을 발견할 겁니다.
다른 분이 찍은 사진도 많이 접하셔서 이런 구도 저런 구도 많이 생각해보시고
찍으실 때 한 장면을 달랑 한 장만 찍지 마시고 다양한 구도로 찍어보시면 이럴 때는 이런 구도가 인상 적이구나 라는 것을 발견하실 겁니다.
기본에 충실한 것이 중요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기계적이거나 기술적인(후 보정 등) 실력도 중요하지만 촬영시의 빛에 대한 부분이나 흔들리지 않는 촬영자세, 정확한 노출, 구도 등등..
많이 찍는 것... 확실히 중요 합니다...
하지만 많이 찍는 것만큼 중요한 것은 찍기 전에 무엇을 찍어야겠다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것저것 보이는 것을 주제 없이 찍는 것 보다는
오늘은 이 주제로 찍어야지... 오늘은 이것만 찍어야지... 하는 식으로 찍어 보세요.
그리도 또 하나 중요한 것은 찍은 사진에 대한 분석입니다.
exif 분석과 구도의 분석 등등
그리고 위의 것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좋은 사진 작품들을 많이 보는 것입니다.
좋은 사진 작품들로 눈을 높이면 사물을 보는 눈이 달라 질것입니다.
처음부터 구도에 너무 메이지 마세요.
자유롭게 나중에 다시 돌아봐도 그때의 그 기분을 느낄 수 있는 그런 사진을 찍으셔야 합니다.
나중에는 필요하겠지만 제 경험상 2만 컷 정도 찍으니깐 생각 없이 찍어도 자연스러운 구도가 잡히더군요.
렌즈하나 1년 쉬지 않고 찍으면 그 렌즈는 파인더 보지 않고도 찍는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경험이 가장 중요한 듯합니다. 가능한 뽐뿌 받지 않고 한 렌즈에서 많은 시간을 담고 싶습니다.
구도와 노출 당연 중요하겠습니다.
프레임 안에 피사체를 어떻게 배열하느냐 중요하지 않을 수 없겠지요.
정해진 틀을 익히는 것도 좋은 방법이겠죠. 그러다 보면 차자 자신만의 구도가 나올 거라 믿습니다.
배열된 피사체에 빛을 어떻게 담을 것인가 중요하겠습니다.
사진은 빛의 미학이란 말도(출처 불분명 혹시 내가 만들었나?)
스틸컷이나 동영상 모두 빛의 선택과 배열이 매우 중요할 것입니다.
순간포착!!
이 역시 중요하겠죠. 셔터를 누르는 타임(좋은 카메라는 셔터렉이 적다고 하더군요)에 따라
완전 다른 사진이 나올 수도 있겠습니다.
그래서 남의 사진을 많이 보는 게 중요합니다.
모방은 창조의 시작이걸랑요 ^^;;;;
좋은 사진 있으면 작게 프린트해서 다니는 모 회원님의 모습을 보고 많은 걸 느꼈습니다.
오죽하면 포즈 북을 다 팔겠습니까?
그래서 저도 좋은 사진을 프린트해서 다니려고 합니다.
비슷한 시간과 날씨(빛의 상황)와 장소에서 비슷한 화각으로 나도 그런 사진이 나올 수 있을까를 실험 해보기 위해서인 거죠 ^^
오늘도 카메라를 어깨에 메고, 같은 장소를 3주째 찍고 있는데 찍을 때마다 다르게 찍게 되네요.
날씨, 시간, 주위의 환경에 따라 저의 느낌 또한 달라지게 되더라구요.
지인께서 말씀해 주신 것이 문득 생각납니다.
"사진을 찍을 때 촬영의 기술적 테크닉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건 감성적인 주제를
정해야만 의도한 사진이 나올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침이란 환경에 대해서 찍는 다는지, 도시란 환경에 대해서 찍는 다는지.
이런 예를 들 수 있는데 아침에 대해서
찍다 보면 동일한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환경 요소와 사진을 찍는 이의
기분상태에 따라 다양한 작품이 나올 수 있고,
그 작품 속에 자기의 성향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손각대 정말 중요합니다. 먹구산 분이더군여... 지금도 알바 뛴다는 ... 엄지손가락으로 셔터를 누르더군요... 엄지손으로 셔터를 누르더군요 제 카메라로 시범 보이시는데... 놀랬슴다 그러나 가장 기본이 되는 손각대 이거 필히 안정적인 자세로 익힐 필요가 있다는걸 뼈저리게 느꼈슴다.
우선 샤픈에 대해 말씀하셨는데 강좌를 참조하시면 여러 자료가 나오므로 특별한 설명은 패스하고 보기 싫어지고. 어떤 사진은 사진이 뭉개지기도 하고 그 값은 우선 다른 분들 것을 참조 하여 따라해 보시다가 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나중에 뭐가 어떻게 된 건지 이해하기가 더 어려워지는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아주 기본적인 부분은 이해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그냥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책을 권해드립니다. 사진촬영방식까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쉽게 이야기 하면 촬영하면서 보정까지 염두에 두게 되는 그런 느낌? 많이 찍어봐야 하긴 하지만 그냥 찍어서만은 안 됩니다.
사진을 찍으면서 항상 메모를 했습니다.
|
2006-05-11 |
'사진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선명한 사진 찍는 방법(펌) (0) | 2007.09.14 |
---|---|
[스크랩] 가슴으로 사진을 찍자 (0) | 2007.09.14 |
[스크랩] 눈,비,안개,얼음,풍경 촬영 요령 (0) | 2007.09.14 |
[스크랩] 대한민국 베스트 촬영지 (0) | 2007.09.14 |
[스크랩] 까페 사진 갤러리에 음악 넣는 방법 (펌) (0) | 2007.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