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83)
-
[스크랩] 남녀의 생식기를 x지라 부르는 이유
남녀의 생식기를 x지라 부르는 이유, 결코 상스러운 표현 아닙니다 >보장지(步藏之)와 좌장지(坐藏之) 기생방 출입이나 하고 천하 난봉꾼으로 장안에 소문난 이항복이가 어머니 최씨의 꾸짖음으로 마음 바로잡고 이율곡 선생문하에 찾아가서 율곡 선생님과의 첫 대면 얘기입니다 "소생 이항복이라 ..
2010.10.25 -
[스크랩] 현조와 현손.고손(현손).고손 속담
(14) ● 현조(玄祖)와 현손(玄孫) [광산김씨(光山金氏)의 후손들이 상계(上系)를 파악하는 기본 자료는 대덕(大德)11년(1307) 고려 충렬왕(忠烈王) 33년(丁未)에 황대전고(黃臺典誥) 김이(金珥)가 찬(撰-지음)한 광산현 제영서(光山縣題詠序)이다. 충정공(忠貞公) 김의원(金義元)은 황대전고 김이...
2010.07.28 -
[스크랩] 만년달력-양력과 음력날짜 알아보기(1881-2050)
169년간(1881→2050) 볼 수 있는 음력 양력 달력 아래 꽃 클릭 !!
2009.07.09 -
공수하는 방법
공수하는 방법 제 2절 공수(拱手)하는 방법 1. 공수의 의미 우리가 어른을 모시거나 의식 행사에 참석하면 공손한 자세를 취해야 하는데 그 방법은 두 손을 앞으로 모아 잡고 다소곳하게 서든지 앉는 것이고, 두 손을 모아 잡는 것을 공수(供水)라 한다. 2.공수의 기본동작(基本動作) 두 손의 손가락을 가..
2009.07.07 -
제사 음식 준비
제사 음식 준비 제사음식.제수진설 ⊙제수(祭羞) : 제수(祭需)) 제수(祭羞))라 함은 제사에 차리는 음식물을 말한다. 제사는 고인을 추모하기 위한 정성의 표시라고 할 수 있다. 정성의 표시는 물질로써 가름되는 것이 아니고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정성이라야 한다. 그러므로 첫째 제수는 많은 돈을 들..
2009.07.07 -
명절 차례
명절차례 명절차례 명절차례 ① 차례명칭 : 고례에는 차례란 말이 없고, 민속 명절이면 명절 음식을 올린다고 했다. 그것을 차례라 말하게 된 유래는 확실한 기록은 안보이나 중국의 고례에 조상을 가장 간략하게 받드는 보름에 차 한잔만 올리는 것을 차례라 말하게 되었고, 따라서 우리가 조상을 가..
2009.07.07